2025 조회수 잘나오는 쇼츠 영상 만드는 팁, 1분 이상의 콘텐츠 기획
인스타 릴스에서는 10초에서 20초 내외의 짧은 숏폼 영상도 큰 조회수와 팔로워를 얻을 수 있다.
본인이 직접 등장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활용하기엔 적합하지만, 부업으로 하기에 짧은 쇼츠만 다루는 건 확장성 부문에서 꽤나 아쉬운 점이 많다. 조회수 그 자체의 수익이 거의 없기 때문.
팔로워를 모아서 별도로 광고를 받는 방식은 가능하지만, 어느 플랫폼도 짧은 숏폼만으로 조회수 수익을 얻기는 어려운 요즘이다.
또한 짧은 숏폼은 유튜브나 틱톡에서는 밀어주지 않는 움직임이 보인다.
반면에 1분 이상 길이의 쇼츠는 확장성이 커지고 있다. 그만큼 수익을 낼 수 있는 루트도 많아지고 있다.
3분 길이의 YouTube Shorts 동영상 이해하기 - YouTube 고객센터
도움이 되었나요?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요? 예아니요
support.google.com
유튜브 쇼츠에서는 최근 최대 3분 길이의 쇼츠를 출시했다.
기존에는 1분이 넘어가면 자동으로 미드폼으로 분류됐지만, 보다 긴 쇼츠를 출시했다는 건 그 다음 단계를 보고 있다는 거다. 짧은 휘발성 콘텐츠보다 스토리가 있는, 보다 오랫동안 유저들을 묶어둘 수 있는 쇼츠가 살아남는 추세다.
실제로 요즘 잘 되는 채널을 보면 보통 40초 이상의 쇼츠를 많이 만든다. 물론 단순히 길게 만든다고 해서 다 잘되는 건 아니다. 30초 이상 보게만드는 것 그 자체가 쉽지 않기에.
1분 이상 길이의 영상에서는 음원 수익을 받을 수 없었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대부분 길어도 59초를 억지로 맞춰서 쇼츠를 만드는 분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이제 100만원에 5~10만원 수준으로 음원 수익이 크게 줄어들면서, 3분 쇼츠에 관심을 보이는 분들이 많아졌다.
유튜브에서 알고리즘을 더 잘 탈 수 있다면, 애드센스 수익으로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을테니.
이게 별도 알고리즘을 타서 잘 된 건지 확신할 수 없지만,
짧은 쇼츠보다 긴 영상을 잘 만들 수 있다면 더 경쟁력이 있는 건 확실하다.
요즘 가장 재밌는 건 틱톡이다.
틱톡은 특이하게 1분, 즉 60초 이상 길이의 영상에서만 수익을 공유해준다.
숏폼으로 유명한 플랫폼에서 상대적으로 긴 영상에서만 수익을 준다는 게 아이러니하지만, 그만큼 틱톡에 모바일 유저들이 더 많은 시간을 쓰도록 양질의 콘텐츠를 우대해주겠다는 의미다.
틱톡은 조회수 당 대략 0.5원의 수익을 공유해주고 있다.
이 또한 시간이 지나서 틱톡이 원하는 만큼 점유율을 가져온다면 단가가 낮아질 수도 있겠지만, 당장에는 집중 투자를 하고 있다.
지금 쓰는 것처럼, 오히려 길게 쭉 - 풀어서 쓰는 건 상대적으로 더 쉽다.
1분 동안 압축해서 콘텐츠를 만드는게 훨씬 어렵다. 불필요한, 장황한 부분을 덜어내고 핵심만 재밌게 전달하는게 훨씬 어렵다.
하지만 이것도 점점 익숙해지고 있고, 성과와 보상이 있으니 힘듦보다는 재미가 더 크다.
역시 금융치료가 최고다.
인스타는 조회수는 잘 나오는데, 아직 수익이 0이라서 아쉽긴 하다. 빨리 음원 저작권 수익이라도 받았으면.
감사하게도 광고주분들께 종종 메일을 받지만, 아직 채널의 방향과 맞는게 없어서 진행하고 있는 건 없다. 그래도 이런 제안을 받아볼 수 있는게 재밌고 설렌다.
다음(Daum)의 오늘의숏도 매달 20일에 수익을 지급해준다. 조회수 당 수익은 0.1원 정도인데, 이정도면 충분히 괜찮은 수준이다.
아직 알고리즘이 부족한 것 같지만, 그래도 아직 초기시장이고 발전 가능성이 있으니 꾸준히 같이 키워가야겠다.
블로그, 유형테스트와 연계는 크게 어렵지 않다. 그동안 오래 해왔으니.
당분간은 흐름을 탈 때 쇼츠 루틴을 쭉 유지해야겠다.
'유튜브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틱톡 팔로워 0명에서 바로 수익화 방법 링크, 유튜브 1만 구독자 계정 활용 (1) | 2025.03.20 |
---|---|
쇼핑 제휴마케팅 시작하는 네이버, 블로그와 연계 시작 (0) | 2025.03.12 |
유튜브 쇼츠 음원 제휴수익 단가 급락, 해결방법을 찾아가는 사람들 (1) | 2025.03.07 |
양산형 썰채널, AI로 만든 쇼츠, 쉬워보이지만 단순히 베낀다고 성공할 수 없다 (1) | 2025.02.13 |
유튜브 영상과 강의용 영상의 속도 차이, 시청 대상에 따라 만족도 차이는 크다 (0) | 2025.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