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형 썰채널, AI로 만든 쇼츠, 쉬워보이지만 단순히 베낀다고 성공할 수 없다
유튜브든, 블로그든 수익을 내는 방법은 다양하다.
특정 방법이 정답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각자 추구하는 가치관이 다르기에.
영상을 직접 촬영하고, 본인이 등장하고, 직접 녹음을 한 목소리로 만든 오리지널 창작 영상으로 만드는게 정석적으로 가장 좋다는 건 누구나 알고 있을테다.
다만 부업으로 지속하기에 직접 촬영하고, 녹음해서 오리지널 영상을 만든다는 건 현실적인 한계에 부딪히는 분들이 대부분이다. 그렇기에 보통은 타인의 영상을 활용하거나, AI를 사용하는 방식을 택한다.
남의 영상을 활용한다고 하면 무조건 ‘불펌’이라고 욕하는 분들도 있지만 의미있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형태로 만들면 ‘공정사용’으로 공식적으로 허용되는 방식이다.
나 또한 이 방식을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공정사용이란 용어가 익숙하지 않지만, 기존 미디어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방식이기도 하다.
누군가는 ‘불펌을 좋게 포장한거 아닌가’ 하고 비난하겠지만 어차피 2차 창작으로 평가받지 못하는 콘텐츠는 알고리즘이 잘 걸러주고 있다.
비난하는데 집중하기보다는 잘 하고 있는 사례의 구조를 잘 분석해야 성장하는데 도움이 된다.
블로그로 치자면 이슈글, 유료광고 돌리면 수익을 낸다는게 말이 쉽지, 실제로 해보면 절대 만만하지 않다. 쉬워보이지만, 진입장벽이 낮은 만큼 본인만의 노하우가 필요하다는 얘기.
쇼츠영상에서도 비슷하다고 본다.
비슷비슷한 양산형 채널이 수백개, 수천개씩 생기고 있다. 그 중에는 알고리즘을 타지 못해서 좌절하고 포기하는 채널도 많다.
양산형이라고 하면 비하하는 뉘앙스로 쓰는 사람들이 많지만 그만큼 대중적으로 사람들이 볼만한 요소를 잘 캐치하고 있다는 얘기다.
별 생각 없이 볼 때는 비슷해 보이지만, 잘 되는 채널은 다 그만한 이유가 있더라.
양산형이라고 해서 마냥 베껴서 잘 되진 않는다. 특히 유튜브는 생각보다 알고리즘이 정교해서 유사한 영상은 칼같이 노출을 줄인다.
100% 창작보다는 익숙한 맛에서 더하는 차별성이 잘 먹힌다
어떤 분야든, 마냥 남의 것을 베끼거나 강의를 듣고 딱 그대로만 하는 경우는 잠깐 성과가 나더라도 결국 끝이 좋지 않다.
그렇다고 또 너무 본인의 스타일에 빠져서 '창작'의 길로 가도 성과가 좋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건 무식한 내 얘기.
괜히 나만의 방식을 개척하려고 하다보니, 오히려 성과가 좋지 않다. 나중에 잘 되고 나면 ‘좋은 시도였다’고 포장할 수 있겠지만 현실은 대중성과의 접점을 찾지 못하고 허송세월을 보내는 경우도 많다.
썰레몬 쇼츠 채널 보러가기
썰레몬
마음이 막 설레.. 썰레.. 썰레몬 🍋 썰레몬!!!!! 구독자 사연과 썰레몬만의 이야기는 썰레몬에서만 확인하세요! 불펌 🚫 📩 문의 및 사연제보: sseollemon@gmail.com (간혹 사연이 누락될 수 있습니다.
www.youtube.com
정말 꾸준히 업로드하며 본인만의 방식을 만들어나가는 분.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잘 되는 사례들을 보면 완전히 창작을 하기보다는 사람들이 좋아하고, 익숙한 형태에서 변형을 주는 방식이 성공률도 높더라.
과거에 설빙이 성공하니 눈빙이니 뭐니 비슷한 빙수 가게가 우후죽순 생기고, 봉구비어가 대박을 치니 무슨 무슨 비어가 줄줄이 생겼던 것처럼.
대박을 치는 히트작, 결과가 나름 입증된 익숙한 맛에서 한줌의 차별성을 넣으면 높은 확률로 반응이 좋다.
이미 어느정도 시장성이 있다는 걸 확인했기에.
하지만 그 차별성이 충분하지 않고, 스스로 개척해나가는 시도가 없으면 결국 오래가지 못하더라.
지금도 사람들은 여름이 되면 설빙에 빙수를 먹으러 간다. 하지만 그 많던 설빙 스타일의 브랜드는 오래가지 못하고 사라졌다.
블로그에 꾸준히 기록을 남기던 사람들은 짧은 숏폼 영상(쇼츠)와 연계했을 때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직 그런 방식으로 잘하고 있는 선례가 없기에 불확실성이 있지만,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반응이 좋은 사례들의 구조를 잘 분석해서, 내 방식대로 시도의 횟수를 늘려야겠다.
'유튜브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영상과 강의용 영상의 속도 차이, 시청 대상에 따라 만족도 차이는 크다 (0) | 2025.01.21 |
---|---|
유튜브 영상에 챕터 추가, 타임스탬프 기능 적용되지 않을때 문제 해결방법 (1) | 2025.01.03 |
유튜브 쇼츠할 때 가장 유용한 영상편집 프로그램 추천, 프리미어프로를 쓰는 이유 3가지 (3) | 2024.12.28 |
조회수 많은 유튜브 쇼츠 영상 분석|속도는 빠르게, 영상은 느리게 (4) | 2024.11.10 |
유튜브 쇼츠, AI목소리(TTS) 사용하면 알고리즘 노출에 불이익있을까 (4) | 2024.11.09 |
댓글